저자 : 이승구 | 출판사 : 도서출판 나눔과 섬김
이 책에서 다룬 신학자들과 운동들의 생각은 정통 기독교회의 가르침과 다르고, 특히 개혁파 정통주의와는 상당한 거리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사상들이 이런저런 모양으로 지금 여기에 있는 우리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학을 하지 않는 일반 그리스도인들에게도 간접적으로 상당히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분들의 사상이 과연 어떤 것인지 우리들도 심각하게 검토해보아야 한다. 그래야 결국 이런 사상의 영향에서 자유롭게 될 수 있다. 이 책의 작업이 이 일을 위해서 조금의 도움이라도 되기를 바란다.
들어가는 말
감사와 인정의 말
제1부 : 천주교 신학들과 그 영향들
1. 헨리 나우윈에 대한 개혁신학적 한 성찰
2. 관상기도와 그 문제점
3. 로마 가톨릭 교회의 ‘의화(義化)’ 이해와 개신교의 ‘칭의(稱義)’ 이해의 비교
제2부 : 종교다원주의와 내포주의 신학
4. 종교다원주의의 대변자 존 힉(John Hick)의 종교다원주의 주장과 그 문제점
5. 복음주의적 내포주의자 클락 피녹(Clark Pinnock)의 신학과 문제점
제3부 : 칼 바르트와 그 영향
6. 게시와 역사의 관계에 대한 초기 바르트(Karl Barth)의 이해
7. 챠일즈(B. S. Childs)의 정경적 성경신학과 개혁파 성경 신학
8. 피터 엔즈(Peter Ends)의 성경에 대한 성육신적 유비의 의의와 문제점
제4부 : 매력적이나 먼 이웃의 신학들
9. 우리는 존 요더(John Yoder)와 어디까지 같이 갈 수 있을까?
10. 레슬리 뉴비긴(Leslie Newbegin) 신학에 대한 한 고찰
11. 레슬리 뉴비긴의 교회 이해의 기여와 문제점
12. 남미의 해방신학과 해방신학적 정향
13. 톰라이트(N. T. Wright)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제5부 : WCC 운동과 그 신학들
14. WCC 제 10차 부산 총회를 바라보면서
15. 성경적 에큐메니즘을 지향하면서
약력
총신대학교 (B. A.)
서울대학교 대학원 (M. Ed.)
합동신학원 (M. Div.)
The University of St.Andrews
신학 석사(M. Phil.) 및 신학 박사 (Ph. D.)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 (Research Fellow)
현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조직신학)
저서
『개혁신학에의 한 탐구』(웨스트민스터 출판부)『교회론 강설: 교회란 무엇인가?』(여수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1: 진정한 기독교적 위로』(여수룬)
『개혁신학 탐구』(도서출판 하나)『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2: 성령의 위로와 교회』(이레서원)
『인간 복제: 그 위험한 도전』(예영)『기독교 세계관이란 무엇인가』(SFC출판부)
『21세기 개혁신학의 방향』(SFC출판부)『기독교 세계관으로 바라보는 21세기 한국 사회와 교회』(SFC출판부)『사도신경』(SFC출판부)
『우리 사회 속의 기독교』(나눔과 섬김)
『광장의 신학』(합신대학원출판부)
『톰 라이트에 대한 개혁신학적 반응』(합신대학원출판부)『거짓과 분별』(예책)
http://mall.godpeople.com/?G=9788988524374
21세기 한국교회의 정황에서 바라본 종교개혁 (0) | 2014.11.06 |
---|---|
“성지 순례”라는 용어를 사용하도 될까요? (0) | 2014.11.04 |
거짓과 분별 (0) | 2014.10.29 |
종교개혁기념강좌안내 (0) | 2014.10.24 |
하나님 나라와 우리 /이승구 박사 (0) | 201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