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피니의 신학
2013.08.29 by 김경호 진실
방법론적 실용주의
2013.07.05 by 김경호 진실
찰스 피니 새로운 견해
2013.04.16 by 김경호 진실
찰스 피니 새로운 방식
찰스 피니 새 학설
구학파가 찰스 피니의 부흥관을 비판한 이유
강단 초청
찰스 피니
2013.04.15 by 김경호 진실
찰스 피니의 신학에 나타난 펠라기우스주의적 경향은 자신의 획기적 방식에 편승해서 하나님이 정하신 수단을 무시하는 태도를 정당화한다. 대단히 요란하게 생겨났다가 사라지는 많은 운동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런 새로운 수단을 바탕으로 '회심한' 많은 사람도 급속히 싹을 트웠다가 ..
찰스 피니 2013. 8. 29. 06:52
19세기에는 신앙 부흥 운동이 미국 전역에 불길처럼 번져 나갔다. 종종 '연장 집회'라고 불렸던 이런 모임은 큰 목조 예배당이나 천막 안에서 열렸다. 이런 모임은 흥분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에, 진지한 종교적 예배만이 아니라 그에 못지않게 대안적인 흥밋거리가 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
찰스 피니 2013. 7. 5. 01:03
웨일즈의 칼빈주의 감리교 지도자이며, 부흥 시대에 왕성한 설교 사역을 했던 존 엘이아스도 같은 관점에서 지적헸습니다. 피니가 가르친 그 새로운 견해가 처음 대서양을 건너 영국에 전해졌을 때, 엘리아스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던졌습니다. "인간의 전적 타락, 완고함, 영적 죽음..
찰스 피니 2013. 4. 16. 04:16
찰스 피니의 '새로운 방식'은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는 설교자의 요구에 순종해야 한다고 가르쳤기 때문에, 그렇게 순종하는 것만이 곧 그들이 은혜 안에 거하게 됐다는 확신을 갖게 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만일, 정말로 강단 앞으로 걸어나오는 것만으로 그리스도를 영접할 ..
찰스 피니 2013. 4. 16. 04:07
찰스 피니의 새 학설은 위험스럽게도 회심에 대해 경박한 개념을 널리 퍼뜨렸으며, 결국 죄에 대해서도 피상적인 생각을 갖게 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상태는 새로운 방식을 말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것을 알이야 합니다. 피니는 이런 새 관점에 근거하..
찰스 피니 2013. 4. 16. 03:59
이른바 '새로운 방식' 이라 불리는 피니의 주장은 두 가지 개념, 즉 외적인 행동과 진정한 거듭남을 혼동했기 때문에 반대에 부딪힌 것입니다. 당연히 우리는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을 수도 있고, 손을 높이 들거나 앞으로 걸어 나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결코 그런 행동들이 한 ..
찰스 피니 2013. 4. 16. 03:53
1830년대에 이 주제와 관련하여 많은 토론이 있었는데, 찰스 피니는 줄곧 자신의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물론 그의 주장이 실용적이기는 했지만, 그러나 성경적이지는 않았습니다. 피니는 전도를 할 때 복음을 듣는 자들이 즉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가르쳐야 한다고 주..
찰스 피니 2013. 4. 16. 00:20
우리가 근본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것은 아담의 죄가 모든 후손의 본성을 타락시켰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문제입니다. 피니는 인간이 아담에게서 죄성을 물려받았다는 가르침을 의도적으로 반대했습니다. 모든 개혁주의 신앙 고백에 따르면, 죄는 단순히 다른 사람의 행위를 우리가 학습..
찰스 피니 2013. 4. 15. 2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