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혁명 이후 기독교인 핍박 최고조 달해
비즈니스 선교 확대하며 사역은 분배해야
중국 내 기독교 박해 상황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중국인 밥 푸 목사(China Aid 회장)가 “현재 중국 정부의 기독교인 탄압이 문화혁명 이후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며 한국 선교계가 중국 선교를 보다 전략적으로 접근하라고 조언했다.
밥 푸 목사는 1989년 중국 북경 천안문 광장에서 자유와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시위했던 학생 지도자로, 1997년 미국으로 건너가 현재 중국의 종교 자유와 법치를 증진시키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그는 최근 한국순교자의소리(회장:폴리 현숙 박사)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 중국 정부의 기독교 박해 상황을 전하고 보다 효과적인 중국 선교를 위해 한국선교계에 몇 가지 조언을 남겼다.
▲ 중국인 밥 푸 목사는 중국의 심각한 종교 탄압을 국제적으로 알리고 있다. |
그는 먼저 한국선교계가 ‘비즈니스 선교’를 확대하라고 주문했다. 중국 정부가 이미 한국 선교사들을 파악하고 있고, 선교 자유가 없는 상황에서 비즈니스를 통한 선교에 주력하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비자를 얻기 위한 비즈니스가 아니라, 실제 비즈니스를 잘 하라”고 주문했다. 전문 분야에서 실제 그 사역에 전념하라는 것이다.
둘째로 그는 한국교회가 서로 협력할 것을 주문했다. 중국 내 한국 선교사들의 중복투자가 심하다는 것이다. 사전에 서로 협력하고 전략적으로 사역을 분배하라고 그는 당부했다.
셋째로 그는 “선교사를 보내기 전에 그 지역의 필요가 무엇인지 연구하고 오라”고 주문했다. 많은 선교사들이 선교지를 어떻게 섬길 지보다 선교단체나 파송교회의 계획과 목적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것 같다며 이를 경계했다.
넷째로 “한국 선교사들은 담대한 영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정의를 위해 서라”고 요청했다. 그는 그동안 한국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수백 명 이상 추방을 당했는데, 중국 정부의 잘잘못을 따지고 항의하는 사례를 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가 일 인치 퇴보하면 적은 한 발짝 다가온다는 말이 있다”며 “한국 선교계가 침묵하는 동안 중국 정부는 한국 선교사들에게 더 나쁜 대우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 일부 한국교회가 중국 삼자교회들과 교류하는 것에 대해서도 주의를 당부했다. 그는 “삼자교회는 정치적인 종교 연합체이며, 삼자교회 지도자들 역시 정치적으로 임명받은 사람들”이라며 중국교회의 80% 이상이 가정교회를 다니는 상황에서 삼자교회와의 교류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그는 최근 들어 기독교를 비롯해 종교 전반에 대한 중국 정부의 핍박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중국 내 기독교 핍박 사례는 2015년 634건이었던 것이 2016년 762건으로 20.2%나 증가했다. 또 2015년과 2016년 사이 신앙을 이유로 구금된 사람의 수가 147.6%나 증가했고, 그 안에는 1800여 명의 교회 지도자들이 포함돼 있다. 같은 기간 동안 많은 가정교회가 강압으로 인해 문을 닫아야 했고, 교회 재산도 몰수됐다.
그는 “중국 내 가정교회는 물론 등록 교회인 삼자교회에 대한 핍박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한국 선교계 역시 보다 전략적이고 적절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104952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선교에 대해 어떤 말을 하는가? (0) | 2017.09.13 |
---|---|
한류 돌파구 삼아 가정교회로 인도하라 (0) | 2017.09.12 |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손과 중국선교 (0) | 2017.07.20 |
성장·성과주의 버리고 성경으로 돌아가라 (0) | 2017.06.27 |
진심 담아 복음의 문 열겠습니다 (0) | 2017.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