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례를 어떻게 시행할 것인가?

안재경목사(남양주)

by 김경호 진실 2019. 3. 13. 09:31

본문

성례를 어떻게 시행할 것인가?

 

 


 

 

안재경 목사

(온생명교회)

 

 

한국개신교회는 성례에 대해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경향이 다분하다. 성례는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까지 한다. 영적인 것이 중요하지 형식적인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종교개혁자들이 ‘참된 교회는 말씀의 바른 선포와 성례의 정당한 집행, 이 두 가지에 있다’고 발언했다는 생각해 본다면 우리는 지나치게 말씀위주의 교회생활을 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교회에서 말씀이 지배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목사는 자신이 설교를 통해 교인들을 확실히 잡을(?) 수 있고, 불신자도 믿게 할 수 있다고 자신하지만 말이다. 성례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으면 말씀 선포조차도 제대로 될 수 없다고 한다면 지나친 말일까? 우리는 성례를 통해 말씀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고 누릴 수 있어야 하겠다.

 

목사는 자신이 성례집례자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한국교회의 수많은 목사들은 자신이 설교만 잘하면 교인들에게 큰 은혜를 끼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자신을 예배인도자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설교자로 생각한다. 그래서 예배가 어설픈 경우가 많다. 쉽게 말하자면 설교 외에 대부분의 순서들을 대충 넘어간다는 말이다. 목사는 자신이 예배 전체의 인도자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예배의 모든 순서, 예배 전체를 인도하는 자라는 말이다. 목사는 기도인도자이기도 하고, 찬송 인도자이기도 하다. 성례를 집례하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말씀(설교)과 더불어 성례야말로 은혜의 방편이기 때문이다. 은혜는 하늘에서 갑자기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방편을 통해서 임하는데 그것이 바로 말씀과 성례이다. 우리는 말씀과 성례가 아니고서는 은혜를 받을 길이 없다. 그렇다면 목사는 말씀과 더불어 성례를 잘 알아야 한다.

   목사는 성례에 관해 계속해서 공부해야 한다. 성경말씀을 통해서 세례와 성찬에 대한 이해가 깊어져야 한다. 신앙고백서와 교리문답이 성례를 잘 해석할 수 있는 지침을 준다. 성례에 관해 집필된 좋은 책들도 공부하면 큰 도움이 된다. 목사가, 더 나아가 당회가 성례에 관해서 공부하지 않으면 성례가 천편일률적이 되겠기에 교인들이 성례에 대해 아무런 기대를 가지지 않게 될 것이다. 목사라면 설교에 무엇보다 제일 큰 관심과 부담을 가지고 있겠지만 성례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설교에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성례를 집례하면 설교가 복음 선포가 될 수밖에 없다. 성례에 신경이 쓰이다보면 설교가 그리스도를 드러내지 않을 수 없다. ‘설교에 방해가 되지 않을까’ 라고까지 생각하는 성례가 도리어 설교를 아주 분명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성례를 피하겠는가? 성례를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하지 않겠는가?

 

교인들을 잘 교육해야 한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은 성례를 ‘복음약속의 눈에 보이는 표와 인’이라고 말하다. 성례는 복음을 눈에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잘 준비해야 한다. 교육이 중요하다. 특히, 세례교육을 잘 해야 한다. 세례교육이야말로 교회교육의 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유아세례를 형식적으로 베푸는 경우가 많은데, 결혼하여 아기를 임신하게 되면 그 때부터 유아세례에 대해 말하고 부부를 가르치기 시작해야 한다. 이렇게 준비가 되었을 때 자녀를 출산하고, 산모가 출생한 아기와 함께 예배에 참석하는 주일에 유아세례를 베푸는 것이 좋겠다. 이 날은 온 교회 유아를 처음으로 맞이하는 날일 뿐만 아니라 세례가 베풀어지는 날이니 얼마나 기다리는 날인가. 유아세례식 때에 부모가 받은 교육을 생각하면서, 그리고 세례 받는 유아를 생각하면서 감사하는 글을 낭독하는 것이 좋겠다.

 

성인세례가 계속되는 교회야말로 복 받은 교회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성인세례를 위해서도 잘 교육해야 한다. 고대 교회에서는 3년 동안 세례교육을 했다. 소위 말하는 입교의 경우는 어떤가? 누가 교육하는가? 유럽의 개혁교회에서는 목사의 직무중 하나가 언약자녀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유아세례 받은 자녀들이 공적신앙고백(소위 말하는 입교)을 할 때까지 주중에 한 두 번씩 만나서 교육하는 것이 목사의 중요한 직무중 하나라는 말이다. 이 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부모교육도 이루어진다.

 

성례를 자주 시행해야 한다

종교개혁자들이 성례를 ‘눈에 보이는 말씀’이라고 말했는바, 우리는 성례를 통해서 말씀을 생생하게 보고 누릴 수 있다. 성례를 통해서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성례를 통해 은혜를 잘 보여주지 않으면 다른 어떤 것을 통해서도 은혜를 누리기 힘들 것이다. 아니, 다른 것들을 통해서 은혜를 누리려고 하면 잘못된 길을 가기 쉽다. 목사가 성례를 잘 이해하고 집례하지 않으면 교인들은 어떤 신비적인 체험 등을 통해 은혜를 누리려고 할 것이다. 보는 것을 추구하는 인생에게 그리스도께서 친히 제정하신 성례를 보여주면 불건전한 신비체험 등에 시선을 빼앗기지 않을 것이다. 보여 달라고 하는 이들에게 우리는 보여줄 것을 가지고 있다. 성례를 자주 베푸는 것이 좋다는 말이다.

세례는 대상자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자주 시행하기 어렵지만 성찬식은 그렇지 않다. 성찬식은 복음을 보여주고 가르치는 중요한 기회이다. 평상시에 설교나 가르침을 통해 성찬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 개신교회가 1년에 서 너 차례 성찬을 베푸는 것은 시정되어야 한다. 자주 시행하지 않는다고 해서 성찬식이 의미있는 예식이 되는 것이 아니다. 성찬을 한두 번 행하면서 오히려 너무 가볍게 베푼다는 인상을 주지 않는가. 이에, 성찬식을 자주 시행하는 것이 좋겠다. 매달 한 번씩 시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매달 첫 주일에 시행하면 성찬과 더불어서 새로운 한 달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도 하고 말이다. 물론, 성찬을 자주 시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도 사실이다. 성찬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들이 불평할 수 있다. 하지만 성찬의 의미를 잘 설명하면 자신도 빨리 세례 받아서 성찬상에 둘러앉기를 바라게 될 것이다.

 

예식문을 사용하라

성례식 때 그 성례의 의미가 잘 드러나야 한다. 성례식을 장중하게(?) 진행해야 한다. 가볍지 않게 진해해야 한다는 말이다. 세상 기념식도 순서와 발언들을 깊이 생각해서 의미를 담아내려고 애쓰는데 성례식은 오죽 더해야 하겠는가? 성례식에는 목사가 장로들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는데, 장로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우왕좌왕해서는 안된다. 장로가 세례반을 어디서 어떻게 들고 있어야 하는지, 떡과 잔을 어떻게 들고 나누어 주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장로는 목사의 발언과 움직임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성례식을 베풀기 전에 이런 것들에 관해 미리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한번씩 변화를 주어야 하고 말이다.

성례식을 제대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예전예식서’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세례식도 그렇고, 성찬식도 마찬가지인데 ‘예식문’이 이미 나와 있다. 그 예식문에 성례의 의미가 풍부하게 담겨있다. 예식문의 내용이 풍부하기 때문에 예식문 자체를 가지고 성례식 전후에 교인들을 교육하는 교재로 사용할 수 있다. 성례식에서는 예식문을 차분하게 읽어가면서 진행하면 성례식의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매번 예식문을 앵무새처럼 똑같이 반복하기보다는 강조점을 잘 드러내면 그때 그때마다 큰 은혜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식문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겠다. 세례식, 성찬식 둘 다 설교 후에 진행한다. 세례식 순서는 다음과 같다. 세례자 호명(강단아래에 목사를 보고 서게 한다) - 세례의미 설명 – 세례문답 – 세례 – 공포 - 감사의글 발표(유아세례의 경우에는 부모가 준비한다) - 축하(교인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축하할 수 있다). 성찬식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성찬의미 설명 – 성찬찬송(‘주 예수 해변서’, ‘오 나의 주님 친히 뵈오니’ 등) - 자신을 돌아보는 기도(목사가 마무리기도를 한다) - 성찬제정사(고전 11:23-26) – 떡과 잔 시위(떡을 떼고 잔을 붓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좋겠다, 이것을 로마식으로 이해하여 성체를 거양할 때 그리스도의 살과 피로 변한다고 보아서는 안된다) - 떡과 잔 분배(회중석으로 떡과 잔을 가지가 갈 수도 있고, 회중을 불러내어 성찬상에 앉게 하거나, 둥글게 둘러서서 떡과 잔을 나눌 수 있다) 먹고 마심(분병과 분잔을 순차적으로 할 수도 있고, 성찬상 주위로 초대했다면 분병 분잔을 한꺼번에 하여 떡을 먹은 후 바로 잔을 마실 수도 있다) - 감사기도.

 

잔치 분위기를 만들라

우리는 예식문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성례가 행해질 때 회중 대부분은 구경꾼의 입장이 되기 쉽다. 회중이 구경꾼의 입장이 되면 은혜를 누릴 수 없다. 성례가 교회의 잔치라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구경꾼이 되는 것이다. 성례가 잔치라는 것을 가르치면 온 교회가 기뻐할 수 있다. 성례가 시행될 때 회중이 축하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시키는 것이 좋겠다. 유아세례가 시행될 때 우리는 그 유아와 부모를 크게 축하해야 한다. 유아세례를 받고 난 다음에 회중이 서로 마주보고 서서 두 손을 들어서 터널을 만들어 그 사이를 유아와 부모가 함께 지나가게 한 적이 있는데 온 교회가 떠들썩하게(?) 축하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성찬식은 더더욱 잔치자리임을 알아야 하겠다. 지금도 성찬식을 장례식에 참석한 것처럼 침울한 분위기가 지배하는 것이 사실이다. 십자가를 지셨지만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복된 상으로 우리를 초대해 주셨다. 우리는 부활하신 주님이 자신의 살과 피를 나누어 준다는 것을 알고 크게 기뻐해야 하겠다. 잔치상에 둘러앉은 모습을 생각해 보라. 얼마나 흥겨운 모습인가. 그렇다면 회중석으로 가서 떡과 잔을 나누어주기 보다는 초청하여 나오도록 해서 둘러 앉거나 둘러 서서 떡과 잔을 먹고 마시면서 기쁨을 나누는 것이 좋겠다.

 

성례의 의미를 되새기고 일상화시키라

성례식은 미리 교육하고 준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례식 이후에 그 의미를 되새기는 것도 중요하다. 성례를 매 주일마다 베풀지 않을 때는 그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들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교인들이 성례를 사모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미 받은 성례를 상기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보이는 것이 없어도 보는 것처럼 살아가도록 하는 길이 된다.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는 마귀가 공격해올 때마다 ‘나는 세례 받았다’고 부르짖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한번 받은 세례가 평생 영향을 미친다는 말이다. 세례의 의미를 계속해서 상기하는 것이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 모른다.

평상시에 설교를 통해 은혜의 방편인 성례를 종종 언급해야 한다. 자신이 받은 세례를 상기하도록 말이다. 그리고 자신들이 참여하는 성찬식이 어떤 의미였는지를 상기시켜 주어야 한다. 성찬식을 매달 한 번씩 베푼다면 매 주일마다 성찬식을 베푸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성찬식 전 주일에 다음 주일에 있을 성찬에 관해 언급한다. 그리고 성찬식 다음 주일에 ‘지난 주일에 우리가 성찬식에 참여하지 않았냐’라고 말한다. 매 주일 성찬식을 베풀지 않더라도 성찬식이 매 주일을 덮게 된다면 교회의 하나됨을 인식하지 않을 수 없다. 성찬식이 잔치이지만 성찬식이 주는 부담감(?)으로 인해 우리는 하나라는 생각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http://reformedjr.com/board02/8902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