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시대 부패했던 가톨릭을 비판하면서 종교개혁을 일으켰던 '프로테스탄트' 운동이 지금 한국교회에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기독 인재 양성소로 알려진 청어람아카데미 양희송 대표가 한국교회를 향해 돌직구 발언을 던졌다.
양희송 대표는 "개신교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왜 사람들이 개신교를 외면하는지, 왜 사회로부터 비난을 받는지에 대해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목회자들은 여전히 중세 종교 개혁 이전의 성직주의에 빠져 권위적이고, 교회는 성장주의에 매몰돼 공룡처럼 변해 교회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는 것이다.
양희송 대표(청어람아카데미)는 "한국교회의 가장 큰 문제는 목회자의 문제, 교회의 문제, 세상과 관계 맺는 방식에 있다"며 "'다시 프로테스탄트'에서는 이러한 성직주의, 성장주의, 승리주의를 키워드로 한국교회가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를 분석했다"고 말했다.
세상과 소통 부재인 한국교회 현실에 대해서도 꼬집었다.
양희송 대표는 "교회 안에서 세상과 관계 맺는 방식은 전도 아니면 선교였다"며,"교회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선순환을 이끌어내려면 종교 개혁의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한국교회가 성장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작은교회도 존재가치를 인정받는 '개신교 생태계'를 창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 대표는 "교회는 부흥하고 성장해야 한다는 것이 한국교회의 명제였다. 그러다보니 대형교회를 추구하는 것이 보편화 돼 그 외의 다른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며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교회 생태계다. 공룡도 살아가려면 생태계적 기반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 때문에 교회 개혁 운동은 생태계를 창출하는 쪽으로 에너지와 인적, 물적 자원이 투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세속주의 성경관과 생명윤리 (4): 자유주의 신학이 무너뜨린 미국의 성문화와 생명윤리 (1) | 2024.08.22 |
---|---|
세속주의 성경관과 생명윤리(3): 생명윤리를 무너뜨린 미국의 신학 사조 (0) | 2024.08.16 |
그릇된 성장주의, 한국교회 타락 주범 (0) | 2023.07.14 |
'열린 예배’가 교회 위기를 부른다 (0) | 2022.09.20 |
한국 교회, 예배가 사라지고 있다 (0)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