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앙이란 무엇인가?
Rev. Dr.김명도
튤립선교회
turipministries.com
2011/2/20
사람들은 개혁신앙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주제는 분명히 토론하는데 아주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그 주제에 대해 아무리 말해도 질리지 않기 때문이다. 확실히 우리 목사님은 설교단에서 이따금씩 그 주제에 대해 언급하신다. 그리고 잘 배웠다는 크리스천으로 불림받는 많은 이들이 그 주제에 대해 상당히 열광적으로 이야기를 하곤 한다.
그렇다면, 개혁신앙이란 무엇인가? 지면이 제한이 있어서 우리는 "개혁신앙"이라고 불리는 신학의 장엄한 체계의 세세한 부분까지 다룰 수가 없다. 여기서 나는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그것이 의미하는 모든 것을 모두가 파악하기 쉽게 하려고 고심했다. TURIP 교육선교회는 담대하게 개혁신앙에 대해 변호하고 설명하며, 또한 우리들이 이해하기 좋게 이야기하려 한다.
기독교계 안에는 상당히 많은 다른 신앙의 체계들이 존재한다. 몇 가지만 말해보자면, --장교교, 감리교, 침례교, 그리고 오순절이 있다. 그리고 그들은 일반적으로 신앙체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모두 예수님을 주와 구주로 믿고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들 사이에는 상당히 많은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감리교회에서는 세상의 기초가 놓이기 전에 하나님께서 무조건적으로 사람들을 선택하셨다는 것을 믿지도 가르치지도 않는다. 침례교회에서는 유아세례에 대해 믿지 않는다. 그들은 고의적으로 창세기 17장에서 아브라함이 이삭과 이스마엘에게 언약의 표징으로 할례를 행했다는 기사를 무시하려고 한다. 구약의 할례에 해당하는 것이 신약의 세례이다. 반면에 오순절 교회는 신앙의 "개인적 경험"과 그리스도의 하신 일과 인격보다 "성령의 사역"에 대해 불균형적인 강조를 한다. 우리들은 우리의 독자들로 하여금, 예전의 개혁자들이 절대로 "오직 성령"을 말하지 않고, 그들은 언제나 "오직 그리스도"를 옹오했던 것을 기억하게 해야하지 않을까? 엄밀한 의미에서 그들 중 누구도 성경의 완전한 가르침에 부합하지 않는다.
장로교파는 그들이 가르치고 있는 개혁교리, 이름하여, 전적부패, 무조건적인 선택, 제한적 속죄(혹은 특별 속죄), 저항할 수 없는 은혜, 그리고 성도의 견인으로 특징지워진다. 거두절미하면, 개혁신앙이란 삼위일체 하나님을 주권적인 창조자로 존경하며 영광을 돌리고, 날마다 그분을 즐거워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점에 있어, 개혁교인은 확고하게 절대적인 하나님의 주권을 붙들고, 성경의 절대적인 권위와 그 가르침을 우리 삶에 실천하는 것이다. 그 세 가지가 주된 개혁신앙의 신조라고 할 수 있다. 좀 더 세부적인 개혁신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무엇보다도 먼저, 개혁신앙이란 전적인 부패 교리를 믿는 것이다. 그 교리의 의미는 각 개인과 모든 사람들이 완전히 부패되었다는 의미로, 사람들이 하나님을 찾는 기능을 잃어버렸다는 것이다. 로마서 3:23절은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라고 말하고 있으며, 다시 로마서 3:11에서 바울은 성령의 영감을 통해, "의인의 없으되 하나도 없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사야서 53장은 우리들은 모두 다 길 잃은 양과 같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을 찾는 사람은 없다. 모두가 자신을 자랑한다. 사람들은 스스로 자신이 왕이라고 느끼고, 그처럼 행동한다. 사람이 스스로 하나님께 이를 수 있는가? 절대로 불가능하다. 성경은 우리들이 죄와 불법으로 인해 죽었다고 말한다. 어떻게 악취가 나는 시체가 스스로 일어나 하나님께 이를 수 있겠는가? 에베소서 2장 1~8절을 읽어보라! 하나님께서 우리들이 죄로 인해 죽었고, 그의 무한한 사랑과 자비 안에서 우리들을 일으켜 세우시고, 그리스도의 구원하는 지식을 우리에게 가져다 주셨다고 말하고 있지 않는가? 오래참으심과 우리들의 죄를 용서하심과, 우리들을 하늘나라의 상속자가 되게 하시기 위해 초청하신다는 점에서 보면 하나님께서는 사랑이시다.
하나님께서는 참으로 사랑의 하나님이시지만, 동시에 진노의 하나님이시기도 하시다. 우리가 동전의 한 면만 볼 때에, 한 가지 그림을 보게 되지만, 우리가 그 동전을 튕겨 뒤집으면, 상당히 다른 그림을 보게 된다. 동전과 똑같이 하나님께서도 속성의 양면을 가지고 계신다. 그분은 자비로우시나, 죄에 대해 참지 못하시고 그의 진노를 습관적이고 고의적으로 그에게 불순종하는 이들에게 쏟으신다. 에덴동산의 아담이 하나님께 불순종함으로 타락한 것에 반해, 우리 주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 아버지께 십자가에서 죽음을 맞는 순간까지 순종하심으로 그의 고유한 의를 우리에게 전가시켜 주심으로 우리를 공동상속인으로 삼아주신 것으로 절정에 도달하였다. 그 순종은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모든 값을 지불한 것이었다. 구약을 펴서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는 불신앙의 때에 어떻게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의 진노가 찾아왔는지를 스스로 한 번 읽어보라. 사람은 부패하되, 완전히 부패했으며, 영적인 파산상태에 처해있다. 사람은 완전히 속수무책인 것이다.
두 번째로, 개혁신앙은 "무조건적인 선택"의 교리를 가르친다. 사람은 잃어버려졌다. 그 누구도 하나님을 찾지 않는다. 모든 인류의 개개인들마다 지옥에 가서 영원한 고통을 당하게 되는 두려움에 버려진 채로 홀로 있게 된다. 하나님께서는 순전히 그의 무한한 사랑을 내시어서, 구원하시기 위하여 그들 중 일부 사람들을 선택하신다. 에베소서 1장 4절은 하나님께서 세상의 기초가 놓이기 전에 그들을 택하셨다고 말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그들 자신의 탁월함을 보고 택하셨겠는가? 이사야 64장 6절을 읽어보라. 우리의 최고의 탁월함이란 것이 하나님께 무엇인가? 우리의 의는 그분에게 있어서 더러운 걸레의 한 조각과도 같다. 우리들이 우리들의 선행이나 어떤 인간적인 탁월함에 의해서 구원을 얻을 수 있는 길은 없다.
없다. 우리들의 탁월함에 의해서는 안 된다. 하나님께서 우리들을 당신의 기쁘신 뜻에 따라 선택하시는 것이다. 굉장히 부유한 미국의 신사가 한국의 고아원에서 고아 한 명을 입양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는 그가 원하는 누구라도 선택하고 데려갈 수 있다. 어라, 그런데 그는 그 어떤 기준에 의해서도 절대로 잘 생겼다고 말할 수 없는 약간 발을 저는 이를 택한다. 고아원 원장이 그에게 더 좋은 선택이 있음을 알려온다. 그러나 그 부유한 신사에게 있어서는 이미 그렇게 결정된 것과 같은 것이었다. 그는 그 소년을 데려간다. 그것으로 모든 상황은 종료되었다. 하나님의 선택에 대해서도 똑같이 말할 수 있다. 우리가 스스로 하나님의 구원을 받을 자격이 있을만큼 다른 이들보다 더 뛰어났었던가? 다시 말하지만, 대답은 절대로 아니다! 우리가 우리의 영적인 눈이 열려 하나님의 영광을 진실로 볼 수 있게 된 것은 순전히 하나님의 놀라우신 은혜로 말미암은 것이다. 그렇다! 하나님께서 우리들을 아무 조건없이 선택하신 것이다. 그의 선하심과 우리를 향한 겸손하신 내리사랑으로 인해 하나님을 찬양하라!
세 번째로, 개혁신앙은 "제한적인 속죄"의 교리에 대해 열심히 되풀이하여 가르친다. 이것은 "특정한 이들을 위한 속죄"로 알려지는 것이 더 낫다. 이 교리는 그리스도께서 구원받은 이들이나 구원받지 않은 이들 모두를 위해 죽지 않으셨다는 것으로, 그 효력은 오직 선택받은 이들에게 한정된다는 의미이다. 요한복음 17장 9절을 읽어보라. 거기서 그리스도께서는 그의 대제사장적인 기도에서 명백하게 전 세계를 놓고 기도하고 계신 것이 아니라, 성부 하나님께서 그에게 주신 이들을 위해서 기도하고 계신다. 물론, 누군가는 요한일서 2장 2절에서 읽을 수 있는 바, "그리스도께서 그 자신을 우리 뿐만 아니라, 모든 세상을 위해 희생하셨다"는 구절을 근거로 논쟁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는, 성경의 나머지 부분의 가르침에 비추어서 읽는 것이 원칙이다. 우리는 우리가 말하기를 원하는 것을 말하게 하는 한 절을 따로 분리시켜서는 안 된다. 어떤 구절도 그 홀로 스스로 설 수는 없다. 성경은 하나로 결집되어 있는 개체로 완전한 연합체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리스도께서는 오직 선택된 이들을 위해서만 십자가에서 죄를 지시고 죽으셨다. 이것이 하나님의 은혜를 말함에 있어 알맞는 것이다. 구약의 경륜에서 보면, 그리스도의 자비로운 희생은 계속되는 짐승의 희생을 대표하는 것이다. 동물의 희생은 죄인이 그의 죄를 고백할 때, 대제사장에 의해서 제단에 바쳐졌다. 사람과 짐승을 가리지 않고 죽음의 천사가 모든 초태생을 죽일 때의 밤, 이스라엘이 이집트를 나오게 되고 열 번째의 마지막 재앙이 내려지던 그 밤을 기억해보라. 모든 이집트인들의 초태생이 무자비하게 하나님의 진노 아래 죽임을 당할 때에, 이스라엘이 있었던 곳에서는 사람과 짐승 모두가 전혀 다치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스라엘 사람들은 지시를 받은 대로, 그들의 문설주에 어린 양의 피를 발랐기 때문이었다. 어린 양의 피가 어떤 마술적인 능력이 있어서 그런 것인가? 아니다. 그 자체로는 아무런 능력이 없다. 그러나 그 피는 그리스도께서 약 1500년 뒤에 십자가에서 흘리시게 될 피의 아름다운 그림이다. 오늘날에는 누구도 희생으로 동물을 죽이지 않는다. 성경은 우리에게 지시하기를 "우리들의 몸을 하나님께서 받으실만한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고 한다.(롬 12:1) 왜? 그리스도께서 모든 것을 위해 그의 몸을 우리를 위해 단번에 드리시어, 우리가 옛 법으로 돌아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 그리스도는 오직 선택받은 이들을 위해서 죽으셨다.
네 번째로 개혁신앙은 많은 가르침들이 "저항할 수 없는 은혜"라고 부르는 것을 만들어 내었다. 한 번, 하나님께서 그의 사랑과 자비로 우리들에게 은혜를 주시면, 우리들은 그것에 대해 저항할 수 없고, 오직 우리 자신을 그의 주권적인 의지에 굴복시킬 수밖에 없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인생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의 구원을 통제하고 계신다. 아르미니우스주의에 헌신하는 어떤 이들에게 이 가르침에 대해 그가 어떻게 반응하는 지를 보기 위해 물어보라. 그는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는, 하나님이 아니라 사람이 궁극적인 결정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들에게 은혜를 주시고자 한다고 하더라도, 아르미니우스 주의자들은(감리교인들, 침례교인들, 오순절교인들 등등의) 우리들이 확실히 그 은혜를 거절할 수 있고, 그를 거부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들의 교리는 순전히 "사람이 만들어낸 날조물"이다. 그들은 하나님의 자리에 사람을 위치시킴으로 본말을 전도시켜 버린다. 로마서 8장 전체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어떻게 은혜를 주시고, 어떻게 사람이 그에게 완전히 항복한 상태로 나아갈 수밖에 없는 지를 보여주는지 매우 주의 깊게 읽어보라.
마지막으로, 하지만 가장 작지 않은, 개혁신앙은 "성도들의 견인"으로 알려진 치명적으로 중요한 교리를 주장한다. 사람이 그의 구원을 그의 인생의 어떤 시점에든지 잃어버릴 수 있는가? 그것이 가능한가? 가능하지 않은가? 이것은 개혁신앙과 아르미니우스 신앙사이를 구분해 주는 중추적인 질문이다. 이 시점에 있어, 나는 "아르미니우스주의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설명하는 시간을 간략하게 가지고 싶다. 이번 기사의 이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주기를 바란다.
의심할여지 없이, "아르미니우스주의자"라는 말은 우리 귀에 가장 여간 이상하게 들려오는 것이 아닐 수 없다. 그 사상은 1606년 레이든에 있는 레이든 대학의 학생을 가르치던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라는 화란 신학자로부터 비롯된 것인데, 화란은 사람이 전적으로 부패하지 않았다는 영향을 받고 있었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사람을 조건적으로 선택하셨다고 생각했다. 아르미니우스 교수는 그리스도께서 지구에 거하는 모든 사람을 위해 돌아가셨으며, 하나님께서 누군가에게 은혜를 주시고자 한다 할지라도, 사람은 확실히 그의 의지로 그것을 거부할 수 있으며, 그가 구원받은 것과 똑같이 기꺼이 구원을 잃어버릴 수 있다고 한다. 아르미니우스 교수는 데오도레 베자 수하에서 수학했으며, 그는 존 칼빈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력자로 증명된 그 위대한 학자 밑에서 배울 동안에는 열렬한 개혁교인이었었다. 그가 오직 GKN교단 안에서 목양의 책임을 맡고 있을 때에만,(Gereformeerde Kerken in Nederland) 그의 신학은 분기점을 보일 뿐이었다. (이 부분은 해석이 좀 어려워 다른 뜻일 수도 있습니다. 원문을 참고해주세요.ㅜ.ㅜ)
아르미니우스가 1609년에 죽자, 그의 학생들이 그들 스스로를 "항의자들"이라고 부르며, 상당히 다른 교리를 가르치는 화란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해 격렬하게 항의하였다. 그들의 목표는 아마도 네덜란드 교회의 잘못된 교리를 그들의 최근의 교사였던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의 가르침에 따르게 하자는 것이었을 것이다. (제임스 아르미니우스는 영국식 이름이다.)
해당 문제를 다루는 위원회가 1618년 11월에 소집되었고, 길었던 153번째 회기의 끝에, 위원회는 항의자들의 항의가 근거가 없으며, 화란교회의 가르침이 정확하다는 결론에 만장일치로 도달하였다. 그게 5월의 일이었다. 명망있는 학자의 이름을 따서 "아르미니우스주의"라고 불리게 된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 교수의 가르침에 의해 확립된 교육체계에 맞추어 교정할 것이 없다는 것이었다.이 위원회는 교회사에 도르트(Dordt, Dort는 영국식이다.) 회의로 알려져 있으며, 결정들은 1619년의 도르트 신조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도르트 신조는 1561년의 벨직 신앙고백서와, 1563년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더불어 대다수의 개혁신앙의 지체들이 동의하는 세가지 일치신조의 구성요소가 되었다.
이제 본론으로 돌아오면, 우리들이 에베소서 2장 8절에서 읽는 바와 같이, 우리들은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서 구원을 받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우리들은 그분이 먼저 우리들을 끌어주시기 전까지는 스스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다. 하나님께서 우리들을 그분의 기쁘신 뜻을 따라 선택하셨는데, 그것이 그분의 은혜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리스도께서는 세상의 기초가 놓여지기 전에,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그들을 위해 죽으신 것이다. 하나님께서 한 번 은혜를 주시고, 효력있는 부르심으로 우리들을 부르시면, 우리들은 그것을 거절할 수 없고, 오직 참된 회개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하는 지식에 이르게 된다. 한 번 구원받은 이는 영원히 절대로 구원을 잃어버리지 않으며, 그것이 "영원한" 생명으로 불리는 이유이다. 만약에 우리들이 구원을 잃어버리는 것이 가능하다면, 구원은 "영원한" 생명이 아니라, "일시적인" 생명이 되어야 할 것이다. 성경은 "일시적인 생명"이라는 말을 알지 못한다. 언제나 "영원한 생명"이다. 나는 당신이 특별히 28~39절을 유념하며, 로마서 8장을 다시 읽어보기를 촉구한다. "누구도 우리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다."라고 39절은 말한다. 우리는 또한 요한복음 10장 28절에서도, "...누구도 내 손에서 빼앗을 수 없다."라는 것을 읽을 수 있다. 우리가 한 번 구원을 받으면, 당신은 모든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며 보호받는다는 사실을 믿어도 된다. 성경은 로마서 8장 33절에서, "누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자를 고발할까?"라고 말한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겠는가?" 다른 말로 하면, 하나님께서 우리의 구원을 지금과 영원히 보증하신다는 말이다.
이것이 무엇이 개혁신앙인가에 대한 간략한 그림의 전부이다. 세상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신앙이 있다. 가장 신뢰할만하게 개혁신앙을 가르치고 철저하게 설교하는 위원회로부터 배울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고마운 일이던가! 우리들을 위한 하나님의 자비로운 사랑과 우리들을 세상의 기초가 놓이기 전에 택하신 것과, 지금까지 계속 우리들을 붙드시고 지키시는 것으로 인해 하나님을 찬양하라! 또한 우리를 노예의 굴레와 지옥의 영원한 형벌로부터 되찾기 위해 죽으신 우리의 주 그리스도를 찬양하라! 그리고 우리를 그리스도의 대속적 속죄의 효력을 우리 마음에 적용시키사, 모든 불순한 것과 불의한 것으로부터 깨끗게 하사, 새로운 피조물이 되게 하신 성령님을 찬양하라! (고린도후서 5장 17절) 그렇다, 우리들은 오직 그의 은혜에 의해 구원을 얻는 것이다. 우리들은 그리스도 안에 있는 믿음을 통하여(through-수단, 경로의 의미입니다.) 은혜에 의해 구원을 받는다. 우리가 지금 그의 은혜에 의해 구원받았고, 앞으로 그의 영원한 나라에서 살게 될 것이다. 삼위일체 하나님께 영광있으라! 그의 주권적 이름이 영원히 높임을 받을 지어다!
(Rev. Dr. Myung-Doh Kim is executive director of Los Angeles-based TULIP Teaching Ministries).
He may be reached at rvkim@yahoo.com or by calling (310) 293-1177, 7/24.
[출처] 개혁신앙이란 무엇인가? - 김명도 교수님 (SDG 개혁신앙연구회) |작성자 김재호
what is reformed faith?
Rev. Dr. Myung Doh Kim
People talk about Reformed faith. It must be a good stuff because people never get tired of talking about it. Certainly our pastor mentions it from time to time in his pulpit, and many so-called "good learned Christians" talk about it quite enthusiastically.
What, then, is Reformed faith? Space is limited and we cannot get into every minute detail of the magnificent system of theology called "Reformed faith." Here I would like to elaborate in easy-to-understand terms so all of us can easily get grips of what it is all about. The TULIP TEACHING MINISTRIES dauntlessly advocates and faithfully preaches Reformed faith, and it is good for us to have some understanding of it.
There are so many different systems of faith within Christendom --Presbyterians, Methodists, Baptists, and Pentecostals, to name but a few. and they are commonly known faith systems. They have a common denominator in that they all believe Jesus is the Lord and Savior and that they all believe the trinity of Godhead.
However,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among them. Methodist church, for example, does neither believe nor teach that God unconditionally chose His elect from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Baptist church does not believe in infant baptism. They intentionally try to ignore the account of Genesis 17 where Abraham circumcised Isaac and Ishmael as a sign of covenant. Baptism is to New Testament what circumcision is to Old Testament. Pentecostal church, on the other hand, puts an unbalanced emphasis on "personal experience" of faith and on the "work of Holy Spirit" rather than on the person and work of Christ. Might we remind our readers that the early Reformers never said "Solus Santus Spiritus," but they always upheld "Solus Christus" ? None of them, in a strict sense, does justice to solid biblical teaching.
Presbyterianism is characterized by its teaching the Reformed doctrine, namely, Total Depravity, Unconditional Election, Limited Atonement (or Particular Atonement), Irresistible Grace, and Perseverance of Saints. To put in a nutshell, Reformed faith is that system of faith which honors and glorifies the triune God as our sovereign Creator and enjoys Him in saints' daily life. Therein lies the reason why Reformed Christians firmly hold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Scriptures and absolute practice of biblical teaching in our lives. These are the three main tenets of Reformed faith. Let us closely examine the Reformed faith.
First of all, Reformed faith embraces the doctrine of Total Depravity. By this, we mean that each and every one of human race is totally depraved, and has lost function to seek God. Romans 3:23 says, "All have sinned and come short of glory of God." Again, in Romans 3:11, Paul through the inspiration of Holy Spirit says, "There is no righteous, no not one." We all like sheep have gone astray as Isaiah said in chapter 53. So, there is no one seeking after God. Everyone takes pride in himself. Man himself feels like he is a king and acts like one. Can a man come to God of himself? Absolutely not. Bible says we are dead in sin and trespasses. How can a stinky corpse rise and come to God on his own? Read Ephesians 2:1-8. Does not God say that we were dead in sin, and God, in His infinite love and mercy, raised us up and brought us to the saving knowledge of Christ? God is love in that He is patient and has forgiven our sins and has invited us to become His heirs in the Kingdom of Heaven.
God is God of love, to be sure, but at the same time God is God of wrath. When we look at one side of the coin, we see a picture but when we flip it over, we see quite another picture. Much the same token, God has two sides of attributes. He is merciful and yet He cannot stand sin and pours out His wrath upon those who habitually and willfully disobey Him. Adam, in the Garden of Eden, fell because he disobeyed God whereas Christ our Lord obeyed God the Father even unto the point of death on the cross culminating in imputing His own righteousness into us, We are His coheirs. Obedience counts most in the eyes of God. Read the Old Testament and see for yourself how the Israelites were visited by God's wrath when in unbelief they fell away from God. Man is depraved, totally depraved, and is left in a state of spiritual bankruptcy. Man is totally
helpless.
Secondly, Reformed faith teaches the doctrine of "Unconditional Election." Man is lost. No one seeks after God. Left alone, each and every one of human race is doomed to go to hell to experience the eternal torment. God sheerly out of His infinite love, chose some of human race to save them. Ephesians 1:4 says God chose His elect from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Did God elect His people according to their own merit? Read Isaiah 64:6. What is our best merit to God? Our righteousness in His sight is like a piece of filthy rag. There is no way we can earn our salvation by our good conduct or any human merit.
No, not by our own merit. God chose us according to His own pleasure. Suppose a very wealthy American gentleman wants to adopt an orphan at a Korean orphanage. He could pick and choose any one he likes. Well, he chose a little limping one in his rag and anything but handsome by any standard. The superintendent asks him to have a better choice. But, for the wealthy man, the case is closed! He takes to the boy. That's all that it takes. The same can be said of God's election. Are we any better than others - so good that we alone deserve God's salvation? Again, the answer is an emphatic No. It is purely out of God's marvelous grace that our spiritual eyes are open and can really see the glory of God. Yes, God elected us unconditionally. Praise be to God for His goodness and condescending love toward us.
Thirdly, Reformed faith inculcates the doctrine of "Limited Atonement." This is better known as "Particular Atonement." It is in effect that Christ died not for the whole world, saved and unsaved alike, but rather for the elect only. Read John 17:9. There Christ in His priestly prayer says explicitly that He was praying not for the world at large but for the ones God the Father gave Him. Of course, one can argue on the basis of I John 2:2 where we read that "Christ sacrificed Himself not just for us but for the whole world as well." But, when we read the Bible, our principle is to read it in the light of the rest of the Bible. We should not isolate any one passage to make it say I want to say. No passage can stand on its own. Bible is one cohesive entity in a total unity.
Christ died on the cross to bear the sins of His elect only. This is where God's grace fits in. In the Old Testament economy, Christ's propitious sacrifice was represented by continuous animal sacrifice. Animal sacrifice was offered to the alter by the priest as the sinner confessed his sin. Remember the night when the angel of death was slaying all the firstlings, whether human or animal, on the night of the tenth and the last plague when the Israelites were brought out of Egypt? Neither human nor animal in the Israelite camp was hurt that dreadful night when all the Egyptian firstlings were ruthlessly put to death under the wrath of God. Why? Because the Israelites had blood of lamb on their door posts as instructed. Did the blood of a lamb have some kind of magic power? No, not in and of itself. But the blood is a beautiful picture of the blood Christ is going to shed on the cross some fifteen hundred years later. Today, no one kills an animal for a sacrifice. The Scripture instructs us to "present our body as a living sacrifice to God acceptable to Him (Rom.12:1)." Why? Christ sacrificed His body for us once for all, and we need not go back to the old law. Yes, Christ did die for the elect only.
Fourthly, Reformed faith makes much of the teaching called "Irresistible Grace." once God, in His love and mercy, offers us His grace, we cannot resist it but to succumb ourselves to His sovereign will. God is in control of our salvation not to mention our lives. Ask any Arminian adherent to see how he responds to this teaching. He dose not buy it. To him, man is to make the ultimate decision, not God. Even if God offers us His grace, the Arminians (Methodists, Baptists, Pentecostals and what not) say we can surely reject the offer and we can turn Him down. Their doctrine is sheer a "man-made concoction." They put the horse before the cart in putting man in God's place. Read very carefully Romans 8 the whole chapter to see how God gives us grace and how man can but come to Him in all surrender.
Lastly, but not least, Reformed faith claims the critically important doctrine known as "Perseverance of Saints." Can a man lose his salvation at any point of his life? Can he or can he not? This is the pivotal question dividing between the Reformed faith and the Arminian faith. At this point, I would like to take a brief time to explain what the word "Arminian" means. You would take heed to this part
of the article.
Evidently the word "Arminian" is strange to most of our ears. It comes from a Dutch theologian named Jacob Arminius who, back in 1606, taught his Leyden University students in Leyden, Holland to the effect that man is not totally depraved. God elected His people conditionally. Prof. Arminius taught that Christ died for each and every human being dwelling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at even if God gives grace to someone he can certainly turn it down at will and one can just as readily lose his salvation as he is saved. Prof. Arminius was taught under the feet of Theodore Beza, and he was an ardent Reformer while he was learning from the great Reformed scholar who proved to be an indispensable aide to John Calvin. It was only when he assumed a pastoral responsibility within GKN, Gereformeerde Kerken in Nederland that his theology saw a turning point.
Arminius died in 1609, and his students who called themselves "Remonstrants" vehemently protested against the system of teaching of the then Dutch government which taught quite the opposite doctrine. Their goal was to bring about a change of the supposedly "erroneous" doctrine of the Church of the Netherlands to conform their teachings to those of their late mentor, Prof. Jacobus Arminius. (James Arminius is an anglicized form)
A council was called for hearing in November of 1618 and at the end of the lengthy 153rd session, the council came to an unanimous conclusion in May of the ensuing year that the protest of the Remonstrants was groundless and that the teaching of the Church of the Netherlands was correct. There was nothing to redress Thence the system of teaching established by the Professor Jacob Arminius came to be called "Arminianism after the renowned scholar's name. This council is known in the Christian church history as Council of Dordt (Dort in anglicized form) and the decisions reached are known as Canons of Dordt of 1619. Canons of Dordt along with the Belgic Confession of 1561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of 1563 constitute the Three Form of Unity subscribed by most of the Reformed faith bodies today.
Now, it is by the grace of God that we have been saved as we read in Ephesians 2:8. We cannot of ourselves come to God unless He first draws us. It is by His grace that He chose us according to His own good pleasure. Christ died for those God chose from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as stated before. once God gives grace and calls us by His effectual call, we cannot reject it, but come to the saving knowledge of God in true repentance. Once we are saved we never ever lose our salvation, and that is why it is called "everlasting" life, for if we were to lose it, it wouldn't be an "everlasting" life, but a "temporary" life. The Bible knows no "temporal life." It is always an "everlasting life." I urge you to Read Romans chapter 8 again, especially verses 28-39. "Nothing can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God which is in Jesus Christ our Lord." says verse 39. Again, read John 10:28 where we read, "....no one can snatch out of my hand." once we are saved, you can rest assured that we are safe and secure from all alarms. "Who would accuse God's elect?" Bible says in Romans 8:33. "If God be for us, who can be against us?" In other words, God guarantees our salvation both now and ever more.
That is a brief sketch of what Reformed faith is all about. There are so many brands of faith in the world. How grateful we are that we can learn from the ministries where the Reformed faith is most faithfully taught and emphatically preached ! Praise be to God who in His merciful love for us, chose us from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and has hitherto sustained and protected us; and to Christ our Lord who died to redeem us from the bondage of slave and from eternal damnation in eternal damnation in hell; and to the Holy Spirit who applies the efficacy of the sacrificial death of Christ to our hearts so that we may be cleansed of our every impurity and inequity and become a new creation (II Corinthians 5:17). Yes, we are saved by his grace alone. We are saved by grace through faith and in Christ. Now that we are saved by His grace we shall henceforth live for His eternal Kingdom. Glory be to our triune God ! May His Sovereign Name be Ever Magnified !
(Rev. Dr. Myung-Doh Kim is executive director of TULIP Teaching Ministries)
출처 : 튤립선교회(http://tulipministries.com)
시대의 표적 - 김명도 박사님 (0) | 2011.11.19 |
---|---|
개혁주의 신앙이란 무엇인가?(수정)-김명도 교수 (0) | 2011.11.10 |
김명도 교수 건강 회복 (0) | 2011.10.28 |
개혁주의 신조학 (Reformed Creeds) (0) | 2011.09.08 |
Machen 박사: 자유주의자는 "그리스도인이 아니다" (0) | 201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