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피니 인본주의 신학
2012.01.08 by 김경호 진실
찰스 피니 펠라기우스
2011.04.27 by 김경호 진실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그 능력은 부인하는 자
2011.04.26 by 김경호 진실
오락 시대의 등장
2011.02.19 by 김경호 진실
복음주의자들의 프로그램화된 전도법으로 교회가 더욱 약화된 이유는, 그 신학적 기저가 매우 인본주의적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418년 카르타고 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된 펠라기우스 신학에 그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복음주의 교회들이 이렇게 지독한 인본주..
찰스 피니 2012. 1. 8. 20:18
자아 및 자아의 죄악성에 대한 성경적 교리가 제거되자, 찰스 피니는 하나님의 주권 교리에 대한 운동을 제거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에게 있어서는 인간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중심적이 되어야 했다.) 이 점에 대해 그는 분명하게 말했다. 그리고 대리적 속죄 교리(즉,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악을 대..
찰스 피니 2011. 4. 27. 22:58
계몽주의는 언제나 인간에 대한 케케묵은 신념인 펠라기우스주의로 종결되고 만다. 19세기의 부흥사들은 보스턴에 아성을 두고 있었던 자유주의자들을 맹공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 부흥사들도 인간의 본성과 권위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똑같은 신념을 견지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찰스 피니는 인..
찰스 피니 2011. 4. 26. 00:27
교회 출석은 급감했고, 신학은 호소력을 잃었다. 계몽주의의 가르침이 호소력 있게 퍼졌고, 이신론이 대중을 파고들었다. 1800년대에 이르러 미국 교회는 쇠퇴기에 접어들었고, 영적인 존립을 위해 무엇이라도 수용할 분위기였다. 1801년 켄터키 주 케인 리지에서 시작된 2차 대각성 운동이 공백을 메웠..
찰스 피니 2011. 2. 19. 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