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위기의 한국교회, 종교개혁 교훈 되찾아야

목회

by 김경호 진실 2015. 12. 5. 08:17

본문

올해는 부패한 가톨릭 교회의 개혁을 일으키고자 했던 종교개혁 498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개신교는 성경의 권위와 하나님의 은혜, 믿음을 강조하며 부패한 교회에 대한 냉철한 성찰과 전향적인 도전을 통해 탄생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의 개신교는 대형 교회의 세습, 교회 내의 분쟁과 다툼, 교회의 세속화, 목회자들의 윤리적 타락 등이 큰 문제로 도마 위에 오르면서 다시금 500여 년 전 종교개혁의 교훈을 되찾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고인 물은 썩고 말듯이 철저한 반성과 성찰이 없이는 한국교회의 미래가 어두울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10년마다 한차례씩 조사하는 종교별인구조사에 따르면 개신교는 1995년 인구대비 19.7%에서 2005년 18.3%로 1.4%가 떨어져 마이너스 성장 현상을 눈으로 보게 된 반면, 가톨릭은 58.23%에서 1995~2005년 사이에 74.38%로 교세가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오늘의 교회개혁과 사회변혁’ 이라는 주제가 한국교회가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공성’ 회복이 교회개혁의 첫 걸음

먼저 한국교회의 희망적인 미래를 위한 첫걸음으로 ‘공공성’의 회복이 필요합니다. 세계 개혁교회의 초석이 16세기 스위스 취리히의 종교개혁에 있습니다. 스위스 종교개혁자 츠빙글리의 사회윤리와 경제학자 아르투어 리히의 경제윤리를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개혁의 방법을 ‘공공성’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세계적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가 추진한 신자유주의의 경제정책에 한국교회도 직·간접적 영향을 받아왔습니다. 빈익빈부익부의 양극화가 심화된 이 시대에 더불어 상생하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사회를 실현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특히 한국교회는 ‘공공성’과 사회적 ‘공적책임’을 계승하는 연합운동을 더욱 강화해야합니다. 이를 위해 교회가 지역사회 속에 깊이 들어가 그리스도의 사랑을 교회 밖 이웃에게 복음의 능력으로 드러내고, 이와 함께 하나님의 나라를 세상 속에서 증언해야 합니다.
 

기성 교회의 ‘분열’과 ‘부패’에 대한 개혁 있어야

또 다른 한국교회의 큰 문제 중 하나로는 진보와 보수와의 갈등, 이권다툼 등으로 인한 분열과 갈등이 팽배해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한 과제로 분열에 대한 회복이 요청됩니다.
IMF 사태 이후에 ‘빈곤 문제’와 ‘사회 양극화’를 초래한 것과 관련 한국 개신교도 분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했음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보수적인 한국 개신교는 현재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구조 악’ 을 묵인함으로써 현 체제의 혁신과 발전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한국의 대형교회를 타깃으로 삼아 증가하고 있는 안티 기독교 현상의 저변에 깔린 사회적 함의를 개신교계가 재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초대형 개신교회 신도들은 시민사회를 중시하는 ‘풀뿌리 중산층’ 이나 ‘풀뿌리 하류층’이 아닌 ‘안전한 중산층’이 다수를 점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현 한국의 진보적 시민운동 진영과 보수적 개신교 사이에는 크게 갈등과 대립의 관계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한국교회의 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최근 감리교를 필두로 장로교 합동측과 통합측이 총회에서 발의한 ‘교회세습방지법안’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해서는 교회 재산 ‘사유화’ 시도를 막기 위한 제도가 정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목회자의 ‘윤리 의식 회복’으로 영적 권위 회복해야

498년 전, 부패한 로마 가톨릭 교회의 가장 큰 문제가 성직자의 타락에 있었듯 목회자의 개혁이 없이는 한국교회의 개혁은 어렵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16세기 개혁이 불가피했던 가장 주 된 원인이 ‘교회의 부패’ 입니다. 근본적으로 ‘교회의 부패’는 곧 교회 지도자들의 부패를 말합니다. 교회 개혁의 과제로 목회자의 ‘윤리 의식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세교회의 근본적인 문제는 성직교육의 부재와 성직자의 양산이었습니다. 성직자의 과대한 배출은 성직자의 지적, 영적, 도덕적 수준을 저하시켰고 상호 경쟁적으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권위와 신뢰를 상실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 한국교회에서 인간의 권위, 그리고 교회 구조의 계급화와 종교적 권위주의가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종교개혁은 16세기의 ‘역사적 사건’ 으로만 이해될 수 없습니다. 한국교회에 가장 필요한 것은 영적 권위를 회복하는 일이자 자성(自省)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ttp://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91963

 

728x90

'목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교회 지도자상 만들어가야  (0) 2015.12.25
목회와 고난  (0) 2015.12.18
어긋난 목회윤리 근본대책 시급  (0) 2015.11.26
목회자 윤리 이대로는 안된다  (0) 2015.11.18
성공 후에도 자유자가 되라!   (0) 2015.11.1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