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신 교단 40년을 지나면서
이승구 교수(합신, 조직신학) 본보 논설위원
우리에게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실천적으로 성경과 개혁신학에 충실한지를 지속적으로 묻는 일
하나님의 은혜로 우리들이 속해 있는 교단이 이 땅에 있게 된지 40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합신 교단이 처음 형성된 후로 계속해서 이 역사가 우리를 지나가고 있습니다. 잘 생각해 보면, 우리 교단의 이 역사는 구속사의 일부요, 신약 교회사의 일부이고, 한국 교회사의 한 부분입니다. 우리들이 제일 먼저 기억해야 할 것은 바로 이런 “폭 넓은 역사의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교단의 역사만을 생각하지 말고, 우리들의 이 역사가 교회사의 한 부분임을 생각해야만 비로소 우리가 역사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들의 궁극적 준거점의 하나입니다.
둘째로, 처음 교단의 초석을 놓은 그 정신을 우리가 항상 잊지 말고 기억했으면 합니다. 성경과 개혁신학에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천적으로 충실하자는 것이 우리의 존재이유였습니다. 이 일을 위해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가 존재하는 것을 잘 보존하는 것이 우리 교단의 형성 이유의 하나였습니다. “한 교단, 한 신학교 정책”이라는 당시 우리나라의 잘못된 정책 때문에 형성되긴 했어도 우리는 그것도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서 주어진 일이라고 생각하면서 일단 시작된 우리 교단은 그 정신에 따라 이론적으로도 개혁신학에 충실하고, 실천적으로도 개혁신학에 충실해야 한다는 그 초심(初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과연 그 일을 위해 있습니다.
우리가 과연 이론적으로 성경과 개혁신학에 충실한지를 지속해서 물어야 합니다. 후에 이 문제를 조금 언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에게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실천적으로 성경과 개혁신학에 충실한지를 지속적으로 묻는 일입니다. 초창기 학교에서 지속적으로 “개혁이란 무엇인가?”를 물을 때 “우리가 말하는 개혁은 다른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을 개혁하는 일이다”고 대답하시던 박윤선 목사님과 초장기 교수님들과 여러 목사님들의 생각을 늘 귀하게 생각합니다. 이렇게 우리 학교와 우리 교단은 처음부터 실천적으로 우리를 개혁해 가려고 했습니다. 그 기준이 성경이었고, 과거에 그렇게 최선을 다하던 신학이 개혁신학이었기에 부차적으로 개혁신학이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늘 성경과 개혁신학에 비추어 우리를 개혁해 가는 교단입니다. 40년 역사 속에서 우리들은 지금도 이 일을 계속해 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하는 설교가 그것을 지향하는 것이고, 우리가 사는 삶이 그것을 지향해 갑니다. 우리로서는, 루터가 말한 대로, “달리 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들은 성경과 개혁신학에 비추어서 성경의 가르침을 지속적으로 공부해 가면서, 그 가르침에 따라서 예배당을 “성전”이라고 하지 않으며, 예배당 앞부분을 “제단”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역시 성경의 가르침을 따라서 역사 전체를 주관하시는 하나님의 주권을 중요시하면서 우리의 구체적인 역사 안에서 하나님의 주권이 나타나도록 하는 일에 힘을 다합니다. 따라서 이 세상의 그 어떤 힘이 최종적인 힘을 지닌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면서 우리의 구체적 역사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하나님 앞에 아뢰어 나갑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우리는 기도하는 일에 힘을 다하는 교회였습니다. 교회와 역사 모두에 있어서 다른 사람들이나 우리들이 행하는 것이 결정적인 것이라고 도무지 생각하지 않고,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만이 결정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우리 교단은 모든 일에 있어서 성경을 따라가는 실천을 늘 강조해 왔습니다. 40년 역사를 지내고 있는 지금도 우리가 이 일에 좀 더 충실할 것이 요구되는 듯합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의 예배가 좀 더 성경에 충실한 것이 될 것인가, 어떻게 해야 우리의 예배가 진리를 따라 하는 예배가 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해야 우리의 예배가 성령님의 주관하심과 감화, 감동 가운데 있는 진정 영적인 예배가 될 것인가?” 하는 것이 처음부터 우리가 추구하는 바입니다. 이 질문과 추구는 지금도 지속적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들의 교회가 참으로 살아 있게 됩니다.
이런 실천적 질문과 함께 우리들은 이론적으로도 참으로 개혁신학에 충실하려고 해야 합니다. 이 일은 간과되기 쉬운 것 같습니다. 학교와 함께 이론적으로도 개혁신학에 좀 더 충실해졌으면 합니다. 이는 모든 목사님들이 이론적 신학을 더 해야 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렇게 시작하였음을 잊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그렇게 가려고 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할 때만 이 일을 주로 하는 학교와 우리 교단이 더 가깝게 가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학교와 교단의 이름을 왜 “합신”이라고 했는지를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이 문제는 우리의 40년 역사가 한국 교회사의 한 부분, 그러니 교회사의 한 부분이라는 것을 기억할 때 제대로 유념하게 될 것이라고 사료됩니다. 교단 역사 40년을 보내면서 우리들이 하나님께 감사하면서 이런 점들을 같이 생각한다면 앞으로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 수 있는 지를 잘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동안 우리를 이끌어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며, 또한 여러 모로 우리의 역사를 이루어 내신 귀한 선배님들께 감사드리면서 이 말씀을 마칩니다.
[합신총회40주년기념 칼럼] 합신 교단 40년을 지나면서_이승구 교수 | 기독교개혁신보 (repress.kr)
취리히 종교개혁-개혁의 속도를 조절하다_안상혁 교수 (0) | 2021.09.15 |
---|---|
돌트 교회정치에 관해 (0) | 2021.07.14 |
무엇을 위해 울 것인가 (0) | 2021.06.08 |
[성경 고고학으로 조명하는 성경 – 단에서 브엘세바까지 (5)] _고양주 목사 (0) | 2021.05.13 |
[성경 고고학으로 조명하는 성경 – 단에서 브엘세바까지 (4)] 겟세마네와 그리스도_고양주 목사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