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신학서론1-신학의 개념

조직신학

by 김경호 진실 2012. 6. 20. 09:24

본문

 

첨부파일 신학서론1-신학의 개념.hwp

신학서론1-신학의 개념

 

1.신학의 개념

 

1)신학(神學)이 무엇인가?

신학은 ‘하나님에 관한 학문’이다. 학(學)이란 “연구에 의해 얻어진 사실들이나 원리들에 대한 체계적 지식” 즉 체계적 지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신학은 하나님과 그의 진리들에 관한 체계적 지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하나님과 하나님의 진리들은 하나님의 특별계시인 성경을 통해서만 알 수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한 의미로 신학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진리들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이라고 서술될 수 있다. 교회 역사상, 기독교 진리들의 체계적 지식을 위해 여러 가지 용어들(sententiae, summa, loci communes, institutio)이 사용되었지만 12세기에 아벨라드(Peter Abelard)에 의해 처음으로 ‘신학’이라는 말(데올로기아 theologia)이 이런 용어로 사용되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신학이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모으는 작업이므로 어떤 사람들은 아예 신학을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신학은 엄격한 의미에서 조직신학을 가리킨다. 17세기부터 신학이 교회의 작업이요 교회의 신앙고백과 규범이라는 측면에서 ‘교의신학’이라는 말도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은 ‘조직신학’이라는 말이 ‘교의신학’ 혹은 ‘교의학’보다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2)일반학문과 신학의 차이

일반학문은 탐구의 대상을 인간의 이성으로 직접 연구해서 얻어진 그 대상의 성질과 법칙들을 해석해서 하나의 종합적인 지식으로 체계화한다. 그리고 탐구의 대상은 전부 창조세계의 일부들이다. 그러나 신학의 대상인 하나님은 연구로 알 수 있는 분이 아니다. 창조주이기 때문에 유한이 무한을 알 수 있나? 신학은 이성과 지성이 직접 하나님을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자신을 계시하신 성경의 말씀을 믿음으로 한다. 신학의 탐구는 성경의 탐구이며 이 탐구는 믿음의 탐구이다. 믿음이 아니라 일반학문처럼 이성이 바탕이 되면 신학도 경험과학으로 전락해버린다. 종교학이 되고 인간학이 된다. (예/불트만 비 신화화.....)

자유주의 신학은 신학을 단순히 신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신앙이나 종교 경험의 학으로 정의하려고 한다.

 

3)신학의 분류

조직신학-서론,신론,인간론,기독론,구원론,교회론,종말론

성경신학(주경신학)-구약신학, 신약신학

역사신학(교회사)-초대교회사, 중세교회사, 종교개혁사, 근세교회사

실천신학-목회학,선교학,목회상담학,설교학 등

 

2.교의신학은 무엇인가?

1)교의신학의 개념

신학은 개인의 신학이 아니라 교회의 신학이다. 교회는 신학 없이 모일 수 없다. 교회는 믿는 자들의 모임인데 무엇을 믿는가? 그래서 교회는 자신들이 믿는 믿음이 무엇인지 믿음의 내용을 확실히 해야 한다. 생각해보라. 믿음이 다른데 같이 모일 수 있겠는가? 따라서 교회는 자신들이 믿는 신앙의 내용을 체계화하고 정리해서 가르치고 전수해야 한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교의이다. (예/행15장에서 할례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예루살렘 총회로 모여서 29절에 우상의 제물과 음행과 목메어 죽인 것 외에는 다른 짐을 지우지 않기로 공식으로 결정하고 전했다) 이처럼 교의는(敎義)는 교회가 믿는 믿음의 내용을 공식적으로 확립해서 선포한 것을 말한다. 믿음에 대한 한 개인의 사적인 진술이 아니라 교회의 공적인 선언이다. 니케야 신조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사도신조가 이에 속한다. 이것을 공부하고 더욱 체계화하는 것을 교의학(敎義學, dogmatics)이라 부른다. 한마디로 교의학은 하나님의 진리들에 관한 교회의 공식적 진술들에 대한 체계적 지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교의의 원천

그럼 교회가 모여 교회의 공적인 신앙고백을 확립할 때 무엇을 근거로 해서 하는가? 교의의 근거는 무엇인가? 이것은 우리 신앙의 근거와 동일하다. 여기에 대해 개혁교회와 로마카톨릭과 자유주의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혁교회의 입장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개혁교회-오직 성경

로마카톨릭-교회의 전통이나 회의도 성경과 동일한 권위를 지님

자유주의-인간의 주관적 종교경험에서 나오는 감정(슐라이어 마허)과 이성의 합리적인 확증(리츨학파)으로 본다. 두 사람이 상반되지만 그것이 자유주의의 특징이다.

 

슐라이어마허/교의학을 기독교 신앙의 내용의 학문이라고 하는데 그가 말하는 기독교 신앙의 내용은 성경으로 알 수 없고 오직 사람의 종교적 경험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그에 의하면 교의학은 교회가 예수님과의 연합에서 오는 감정을 묘사하는 것이다. 교의는 종교적인 감정의 지식적인 표현이다.-칸트의 영향, 칸트는 사람은 경험을 초월한 것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가질 수 없기에 하나님에 관한 학문인 신학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실천이성만이 종교의 유일한 안내자라고 주장했다. 칸트철학이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의 주관주의를 발생시켰다. 주관적 경험과 이성의 합리성을 강조하는 현대신학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지 않는가? 왜 자유주의가 합리적인 동시에 그토록 감정적이고 신비적인지를 이해하라....

 

이처럼 교의의 원천이 오직 성경에 근거할 때 개혁교회의 교의는 세 가지의 특징을 가진다.

①교의가 성경에서 인출된다는 것

②교의는 성경의 진리를 교회의 상황에 반영시킨 열매라는 것

③교의는 반드시 교회의 공식적인 확립과정을 거쳐 공식적으로 채택될 때 인정

 

3)교의의 발생이유

•이단에게 대처하기 위해

교회가 시작될 때 이단도 시작된다. 가라지 알곡.... 이렇기 때문에 교회는 늘 바른 믿음이 무엇이며 거짓된 믿음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바른 믿음의 조항들을 정하고 그것을 공식화해서 공교회의 승인을 받을 필요성이 생겼다. 그리스도의 신성교리, 삼위일체 교리, 기독론, 이신칭의...이처럼 교의는 교회의 위기상황에서 생겼다.

•교회 자체의 필요성

예비신자에게 성경을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믿음의 내용을 분명하게 확립시키기 위해 조직적인 교의가 필요했다. 진리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교의가 필요하다.

•교회의 신앙일치를 위해 교의는 반드시 필요하다. 교회의 일체성은 유형적이기 전에 먼저 영적이며 교리적이다. 교회는 같은 신앙 위에서 한 몸을 이룬다. 정통 신앙을 가진 자와 이단자가 하나를 이룰 수는 없다. 사도 바울은 “다 같은 말을 하라”고 권면하였고(고전1:10), 또 “믿음은 하나이요”라고 말했다(엡4:5). ‘같은 믿음’(딛1:4)은 모든 기독교인들의 연합의 기초이다. 예/W.C.C

•사람에게 있는 체계적 지식에 대한 기본적 욕구가 교의를 발생시켰다고도 할 수 있다. 지식의 체계화는 사람의 기본적 욕구이며, 진리의 지식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우리는 하나님의 진리들의 단편들뿐 아니라 그 전체를 알기 원한다. 반틸은 “성경의 내용을 연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은 하나님이 주신 우리의 의무이다”라고 말했다.

 

4)교의의 요소

①사회적요소-교의가 개인의 소산물이 아니라 교회의 소산물이므로

②전통적요소-교의는 모든 시대의 교회의 과업. 진리는 역사를 통해 더욱 공고해져야 진리...

③권위적요소-교의가 성경에서 인출되기 때문에 당연히 권위적이다.

 

3.교의신학의 역할과 임무

현대는 무교의적 시대이다. 종교철학, 종교역사, 종교심리학에 관한 책을 쏟아져 나왔지만 교의학에 관한 저서는 찾기 힘들다. 신앙자체가 교리적이거나 교의적이지 않고 감정적이고 주관적인 종교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늘어간다. (칸트의 영향이 지대하다.) 그러므로 더욱 개혁교회는 올바른 교의를 가르치고 그 위에 건전한 신앙을 확립해가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교의학의 역할과 임무는 분명해진다.

1)교의의 근거인 성경구절들의 뜻과 유래를 분명히 밝히는 역할

2)교의 형성과정에서 철학이나 다른 사상이 혼합되지 않았는지 살펴야 한다.-비평적 임무

3)교의가 성경전체의 조망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늘 보완하고 보충해야 한다. 예/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의 관계

4)신학의 목적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인간을 변화시킨다. 우리의 존재와 운명을 결정하는 지식이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하나님을 섬기게 하고 경배하게 한다. 결국 신학의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므로 교의신학도 이런 영광스러운 임무와 역할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4.교의학의 역사

성경을 보면 초대예루살렘 교회부터 교의가 발생했다는 것을 볼 수 있지만 그것이 조직적으로 문서화된 것은 3세기 고대 공교회 시대부터이다.

1)고대 공교회 시대

오리겐의 제일원리 (218년), 어그스틴의 약기, 다메섹인 요한의 정통신앙 정해

 

2)중세시대

안셂, 토마스 아퀴나스

 

3)종교개혁시대

멜랑톤, 즈윙글리, 칼빈

 

4)개신교 스콜라주의 시대-정통주의 시대

 

5)합리주의와 초자연주의 시대

 

6)현대신학시대

출처 : 한우리성경강해
글쓴이 : 한우리 원글보기
메모 :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