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적인 기준으로 목사를 청빙하는 교회들 | |||
임진남 목사(예본교회, 한국개혁신학연구원) | |||
현대교회의 모습 가운데 그야말로 성경에 기초하지 않는 모습들이 상당이 많다. 일일이 다 예를 들 수 없지만 가장 세속적인 한 가지를 든다면 그것은 바로 신학교의 교육이다. 오늘날 신학교 교육은 그야말로 세속적이다. 너무나 세상적 가치관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자신들이 무엇 때문에 신학을 하는지 알지 못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나님께서 자신을 부르셨다고 말한다. 하나님께서 부르셨기 때문에 신학교에 왔다고 한다. 이 말에 담겨 있는 의미는 다름 아닌 자신은 하나님의 종이라고 하는 것이 정당하게 성립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이 신학교에 와서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그 광경을 보면 아마도 성도들이 실망할 것이 분명하다. 대부분의 신학생들은 자신들이 목회를 하면 소위 성공했다는 교회들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큰 교회 목사가 되기를 바란다. 성경과 개혁주의 사상에 근거하여 성경적 교회가 무엇인지 가르침을 받기 보다는 큰 교회 시스템과 프로그램만 배우려고 한다. 신학교에 들어와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소명에도 문제가 있지만 가르치는 교수들에게도 문제가 많다. 왜냐하면 자유주의 신학을 연구하여 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니 복음과는 상관없는 학문만 가르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학은 결국 교회를 실제로 이루고 사람을 구원하는 복음을 선포하지 않으므로 교회를 이룰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사람들에게서 배우고 졸업하여 목사가 되었고 나중에 목회를 하는 상황이 되어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그저 결과에만 집중하는 목회만 하게 되는 것이다. 세상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목회만 잘 하면 된다는 식으로, 세상의 기업들이 회사를 키워나가 듯이 그런 식으로 교회를 경영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오늘날 대부분의 신학교들이 타락의 온상 노릇을 하고 있다. 인가를 받은 신학교나 비인가 신학교 모두 이러한 상황에 빠져 있는 것을 부인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왜 신학교들이 이런 모습으로 변질되었는가? 그것은 다름 아닌 일반 세상 대학들과 경쟁에 빠져 자신들의 몸집을 키워하여 하고 세상으로부터 인정을 받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신학교는 세상으로부터 인정을 받을 필요가 없고 받지 않아도 된다. 신학교는 원래 바른 교회를 이루려는 목적 하에 교회와 노회 그리고 총회가 신학교라는 교육기관을 만들고 운영하면서 자신들만의 신앙고백에 기초한 복음과 바른 지도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신학교가 교회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성경의 가르침을 보더라도 그렇게 할 수도 없다. 다시 말해 신학교는 교회에 종속이 된다. 신학교는 오직 교회를 섬긴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교회가 신학교에 종속이 되고 말았다. 교회의 경험도 없고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교회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신학교가 세상의 대학교와 같이 운영하고 몸집만 크게 하려고 하니 교회다운 교회를 이루는 길은 아주 멀기만 한 것이다. 종교단체를 만들 수 있지만 그리스도의 몸인 바른 교회를 이루게 하는 일을 하지 못할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도 계속 신학교의 교육은 여전히 세상 학교와 경쟁하는 식으로 가고 있다. 세상 학교와 경쟁하여 이기는 것이 신학교의 목적이 아니다. 신학교육을 받는 한 사람, 한사람을 바르게 가르치고 교회를 섬기는 자들로 세우는 것이다. 교단과 총회는 이러한 목적으로 학교를 세웠고 교수를 청빙하였다고 하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아야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미국의 예일이나 하버드, 프린스턴 이러한 대학들이 과거에는 교회나 교단들이 세운 학교였지만 지금은 세상과 같은 일반 대학들이 되고 만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런데 더 슬프고 웃긴 모습은 이러한 대학에서 공부를 하고 온 사람들이나 외국에서 학위를 받은 자들이 자신들의 목사로 온다면 한국교회는 대 환영을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교회에 속한 성도들의 수준도 여전히 세상적인 수준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회와 성도는 복음, 즉 하나님의 말씀을 그 양식으로 삼고 살아가는 생명이다. 그런데 세상적인 기준으로, 교회를 섬기는 자들을 청빙하고 그들에게 주님의 양을 맡긴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현대교회는 이러한 일들을 아주 자연스럽게, 그리고 영광스럽게 여긴다. 여기에 교회의 악순환이 있는 것이다. 근본부터가 하나님의 복음을 바르게 가르침을 받지 못하고 그저 세상적인 방법과 기준으로 자신의 목회를 하는 자가 교회의 목사가 되어 성도들을 가르치고 이러한 사람에게서 배움을 받은 성도가 또 다시 신학교에 가서 목사가 되어 교회로 가고 있다. 이것이 바로 악순환이 아니고 무엇인가? 사도 바울보다 더 감옥에 많이 간 사람은 우리들 가운데 없다. 그리고 그는 외모도 보잘 것 없고, 말로 사람을 설득하는 일도 잘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독신이었고, 몸에 여러 지병도 있었다. 사실 오늘날 이러한 사람이 목사가 된다면 성도들은 자신들의 교회에 모시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주님은 바울을 자신의 충성된 종으로 삼으시고 몸 된 교회를 세우는 귀한 사역을 맡기셨다. 사도 바울 보다 더 뛰어나고 유능한 목사는 없다. 우리의 기준은 세상이 아니다. 오직 주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성경과 신앙의 위대한 조상들이 남긴 믿음의 유산들이다. 이것을 소중하게 여긴다면 교회는 악순환이라고 하는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
http://www.ctimes.or.kr/news/view.asp?idx=2323&msection=3&ssection=36
성도는 혼자 성령 충만할 수 있는가? (0) | 2017.06.05 |
---|---|
애굽이 되어 버린 이스라엘을 심판하심(계8:1-13) (0) | 2017.06.05 |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자가 누구인가?(계7:1-17) (0) | 2017.05.22 |
주님께서 심판을 통해 신실하심을 나타내신다(계6:1-17) (0) | 2017.05.15 |
아버지와 아들에게 영광과 존귀를... (계5:1-14) (0) | 201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