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기도회는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위기를 돌아보고, 교회가 불의에 맞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기도회가 끝난 뒤 참가자들은 헌법재판소까지 침묵 행진을 하며 내란 사태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과 정의로운 심판을 촉구했다.
"하나님, 저희의 침묵을 용서하십시오"
기도회에 참석한 신학자와 목회자들은 현 시국을 규탄하며, 교회가 침묵과 방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영택 전 총회장은 설교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 공동체적 정체성, 역사적 정체성을 잃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며 교회의 공적 역할을 촉구했다.
특히 이번 시국기도회에서는 12.3 내란 사태 과정에서 헌법기관인 서울서부지법이 폭도들에 의해 점거된 사태를 강력히 규탄했다. 참석자들은 이를 "반국가적 내란 행위"로 규정하며, 대통령 탄핵과 함께 내란 가담 세력에 대한 엄중한 법적 책임을 촉구했다.
더욱이 탄핵 반대 집회를 주도하고 폭력 사태에 가담한 일부 세력이 특정 교회 소속으로 밝혀지면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커졌다. 참석자들은 "불의를 옹호하며 선동하는 이들은 더 이상 교회가 아니다"라며 "거짓 선전과 혐오 조장, 폭력 선동을 일삼는 사이비 집단을 교회와 사회에서 퇴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언자들은 성소수자 차별 문제, 목회자의 사회적 책임, 신앙 공동체의 정치적 판단력 부족 등을 지적하며 교회가 시대적 불의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평화와 민주주의를 위한 교회의 결단"
참석자들은 성명을 통해 한국 교회가 공적 신앙을 회복하고 민주주의와 평화를 지켜야 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성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석자들은 혐오와 폭력을 조장하며 거짓 선동을 일삼는 세력을 반사회적이고 반교회적인 사이비 집단으로 규정하고, 이를 교회와 사회에서 퇴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각 교단 총회가 이들을 사이비 이단으로 규정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둘째, 교회의 공공성과 공동체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목회자와 신자들은 세습금지법을 비롯한 교단 헌법을 준수하고, 교권주의와 부패를 척결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도회 참석자들은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 8:32)는 말씀을 마음에 새기며, 한국 사회의 정의와 민주주의를 위해 교회가 십자가를 지고 나아가야 한다고 다짐했다.
"내란 선동하는 교회 더는 교회 아냐, 사이비 이단으로 규정해야"
보수논객 김진 "헌재, 만장일치 인용…기각 시 혁명 수준 민중항쟁" (0) | 2025.03.28 |
---|---|
교회 파고든 혐오·선동… 근본주의 신학 병폐 (0) | 2025.03.28 |
조속한 윤석열 파면으로 민주주의 다시 살려내야 (1) | 2025.03.26 |
개신교계, "한국교회 극우화 회개· 탄핵 인용해야" (0) | 2025.03.26 |
비판과 자성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