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은 무엇을 말하는가? | |
많은 사람들은 시편의 말씀을 좋아한다. 시편은 종합선물 세트와 같다. 인간의 다양한 감정들과 하나님의 마음을 담고 있다. 시편에는 다윗의 75편과 솔로몬의 3편과 아삽의 12편과 고라 자손의 11편과 헤만의 1편과 에단의 1편과 모세의 1편과 무명의 저자 46편으로 구성되어 있다(호크마주석). 그래서 시편에는 다양한 주제들이 등장한다. 인간의 희로애락과 하나님의 성품과 그 언약과 이스라엘의 역사와 악인과 의인의 대조와 율법과 복된 삶이 등장한다.
다윗은 중한 병에 걸려서 탄식하며 하나님의 도움을 간절히 구하고 있다. “내가 탄식함으로 피곤하여 밤마다 눈물로 내 침상을 띄우며 내 요를 적시나이다(시6:6).” 그는 또한 자신의 슬픔이 변하여 춤이 되게 하신 하나님을 찬양하고 있다(시30:11). 그는 고통과 근심으로 자신의 눈과 영혼과 몸이 쇠하였다고 하였다(시31:9). 모세도 인생의 슬픔을 고백하고 있다. “우리의 연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도 그 연수의 자랑은 수고와 슬픔뿐이요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시90:10).” 또한 무명의 저자는 슬픔을 만났을 때 기도하였다. “사망의 줄이 나를 두르고 음부의 고통이 내게 미치므로 내가 환난과 슬픔을 만났을 때에…여호와여 주께 구하오니 내 영혼을 건지소서(시116:3-4).” 또한 무명의 저자는 인생의 위기에서 자신을 건지신 하나님을 찬양하고 있다. “주께서 내 영혼을 사망에서, 내 눈을 눈물에서, 내 발을 넘어짐에서 건지셨나이다(시116:8).” 시편은 인생에 죄가 미치는 영향력을 말한다. 다윗은 자신의 허물과 죄악을 자복할 때 주께서 용서해주셨음을 고백하고 있다(시32:5). 다윗은 죄악을 인생의 무거운 짐이라고 하였다(시38:4). 다윗은 자신의 죄악을 주께 아뢰고 그 죄를 슬퍼하였다(시38:18). 다윗은 사람의 죄악을 징계하는 하나님을 말한다(시39:11). 다윗은 자신의 죄가 머리털보다 많아서 낙심하였다(시40:12). 다윗은 모태에서 출생할 때부터 죄인이라고 하였다(시51:5). 무명의 기자는 마음속의 죄가 기도 응답의 장애물이 된다고 하였다(시66:18). 주의 말씀이 죄악을 이긴다고 하였다(시119:133). 모세는 은밀한 죄가 주 앞에서 드러난다고 하였다(시90:8). 시편은 의인과 악인을 대조하고 있다. 의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은 의인의 회중에 들지 못하며 심판을 받아 멸망하는 바람에 날리는 겨와 같다(시1:4-6). 악인은 교만하며 그 모든 사상에 하나님이 없다고 한다(시10:4). 악인에게는 심판의 그물이 내리며 불과 유황과 태우는 바람이 그들에게 닥친다(시11:6). 악인은 푸른 나무와 같이 무성하나 순식간에 사라지는 존재다(시37:35-36). 악인은 여호와의 성에서 다 끊어진다(시101:8). 의인에게는 복을 주시고 은혜로 이끄신다(시5:12). 여호와의 눈은 의인을 향하시고 들으신다(시34:15). 의인은 고난이 많으나 그 모든 고난에서 벗어난다(시34:19). 의인은 종려나무와 백향목같이 번성한다(시92:12). 의인의 장막에 기쁜 소리와 구원의 소리가 있다(시118:15). 여호와께서는 의인을 사랑하신다(시146:8). 시편에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표현으로 가득하다. 여호와여 주는 나의 방패시요 나의 영광이시요 나의 머리를 드시는 자니이다(시3:3). 여호와는 나의 반석이시요 나의 요새시요 나를 건지시는 자시요 나의 하나님이시요 나의 피할 바위시요 나의 방패시요 나의 구원의 뿔이시요 나의 산성이시로다(시18:2). 영광의 왕이 뉘시뇨 강하고 능한 여호와시요 전쟁에 능한 여호와시로다(시24:8). 주의 진리로 나를 지도하시고 교훈하소서 주는 내 구원의 하나님이시니 내가 종일 주를 바라나이다(시25:5). 여호와는 나의 힘과 나의 방패시니 내 마음이 저를 의지하여 도움을 얻었도다 그러므로 내 마음이 크게 기뻐하며 내 노래로 저를 찬송하리로다(시28:7). 하나님은 온 땅에 왕이심이라 지혜의 시로 찬양할지어다(시47:7). 나의 구원과 영광이 하나님께 있음이여 내 힘의 반석과 피난처도 하나님께 있도다(시62:7). 주의 도를 땅 위에, 주의 구원을 만방 중에 알리소서(시67:2). 날마다 우리 짐을 지시는 주 곧 우리의 구원이신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시68:19). 하나님은 예로부터 나의 왕이시라 인간에 구원을 베푸셨나이다(시74:12). 우리 구원의 하나님이여 주의 이름의 영광을 위하여 우리를 도우시며 주의 이름을 위하여 우리를 건지시며 우리 죄를 사하소서(시79:9). 이스라엘아 여호와를 의지하라 그는 너희 도움이시요 너희 방패시로다(시115:9). 시편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이 나타난다. 시편 22편에는 다윗의 고난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의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예수께서 사람들에게 비난 받는 모습을 6절에서 발견하며, 16절에서 그가 수족이 찔리게 되는 십자가 고난의 모습을 보게 되며, 18절에서 로마 군인들이 그의 옷을 나누고 제비 뽑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십자가에서 예수의 뼈가 꺾이지 않고 보호된다(시34:20). 예수께서 친히 그 몸으로 속죄제물이 되신다(시40:6,7 히10:5-7). 예수와 함께 성찬식에 참석하였던 가룟 유다의 배신한다(시41:9 요13:18). 예수께서 타락한 성전을 향하여 분노하시고 정화를 하신다(시69:9 요2:17). 멜기세덱의 서열을 따라 영원한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을 말한다(시110:4). 건축자의 버린 돌이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는 것처럼 예수께서 그와 같이 되리라(시118:22). 만왕의 왕이 되신 예수께서 세상의 모든 왕들과 이방 나라를 심판하신다(시2:6). 예수께서 영원히 그의 나라를 통치하신다(시45:6). 시편에는 이스라엘의 역사가 있다. 주께서 이스라엘을 가나안 땅으로 인도하셨다(시44:2,3 시80:8). 반석에서 물을 내시고 흐르는 강을 마르게 하셨다(시74:15). 홍해를 건너는 이스라엘 백성을 말한다(시77:19,20 시114:3). 주께서 이스라엘을 구름기둥과 불기둥으로 인도하셨다(시78:14). 요셉과 모세 이야기가 등장한다(시105:17,26). 광야에서 이스라엘의 우상숭배를 말한다(시106:19,28,36). 아모리인의 왕 시혼과 바산 왕 옥의 멸망이야기가 등장한다(시135:11 시136:19,20). 시편에는 인생의 복된 삶이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여호와를 경외하고 의지하는 자는 복되다(시2:12 시115:12). 주의 뜰에 거하는 자가 복되다(시65:4 시84:4). 여호와의 율법을 묵상하고 즐거워하고 행하는 자가 복되다(시1:1 시112:1 시119:1). 주께 허물과 그 죄를 사함을 받는 자가 복되다(시32:1). 공의와 의를 행하는 자가 복되다(시106:3). 여호와를 자기 하나님으로 삼고 그를 가까이 하는 자는 복되다(시73:28 시144:15). 시편은 인생의 죄악과 그 연약함을 깨닫게 하고 하나님을 가까이 하고 의지하는 것이 복된 인생이라고 말한다. 또한 인생의 모든 위험과 고난과 대적으로부터 그의 백성을 지켜주시고 승리하게 하시고 구원으로 인도하는 하나님의 능력과 그 선하심을 보여주고 있다. 시편은 인생에 복의 근원을 말하면서 복된 인생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으로 마치고 있다. 이석화 목사는 영남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구미에서 새기쁨교회를 목회하고 있습니다. 성경 연구 저술 활동을 통해서 한국 교회에 유익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세오경 통독큐티>(펍플, 2014년)을 집필했습니다. 연구와 기고, 출판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구미새기쁨교회 이석화 목사, 054-475-3882 |
http://www.ctimes.or.kr/news/view.asp?idx=2561&msection=4&ssection=61
대영 박물관과 성경: 신 앗수르 왕국 (0) | 2017.11.30 |
---|---|
욥기는 무엇을 말하는가? (0) | 2017.11.27 |
예레미야 4장 안일, 안락, 자기만족에 취할 때가 아니다 (김형익목사 (0) | 2017.10.21 |
예레미야 3장 율법이 아닌 언약의 사랑으로 (김형익목사 (0) | 2017.10.21 |
예레미야 2장 하나님의 선하심을 맛보아 아는 것이 신앙의 정수다 (김형익목사 (0) | 2017.10.21 |